맨위로가기

유성 순치 마찰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성 순치 마찰음은 윗니로 아랫입술을 가볍게 물어 공기를 마찰시켜 내는 자음으로, 마찰음, 순치음, 유성음, 구강음, 중설음, 폐장기류음의 특징을 갖는다. 현대 그리스어의 β, 웨일스어의 f, 영어의 v 등 다양한 언어에서 나타나며, 슬라브어에서는 마찰력이 약하게 나타나기도 한다. 반면, 고대 그리스어, 라틴어, 중국어(표준어), 한국어, 일본어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순치음 - 무성 순치 마찰음
    윗니와 아랫입술 사이 마찰로 나는 무성음인 무성 순치 마찰음은 영어 'f' 소리에서 볼 수 있으며, 식습관 변화와 저작력 감소가 확산에 영향을 준다는 연구가 있다.
  • 순치음 - 순치 탄음
    순치 탄음은 윗니를 아랫입술에 튕겨 내는 소리로, 국제 음성 기호로 ⱱ로 표기되며 주로 중앙 아프리카 언어에서 발견되고 일부 언어에서는 양순 탄음의 변이음으로 나타난다.
  • 마찰음 - 무성 양순 마찰음
    무성 양순 마찰음은 입술을 가볍게 맞대고 공기를 강하게 내쉬어 만드는 무성 구강음으로, 일부 언어에서 음소로 나타나거나 다른 자음의 변이음으로 나타나며 한국어와 일본어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 마찰음 - 유성 치경 마찰음
    유성 치경 마찰음은 혀끝과 치조릉 사이의 마찰로 나는 유성음으로, 국제 음성 기호는 /z/이며, 다양한 변종이 존재하고, 한국어에는 없지만 중세 한국어의 반치음과 관련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유성 순치 마찰음
음성 기호 정보
IPA 기호v
IPA 번호129
유니코드 십진수118
X-SAMPAv
브라유v

2. 조음 방법


  • 윗니로 아랫입술을 가볍게 깨물어, 옆의 빈 공간으로 공기를 흐르게 한다.
  • 빈 공간을 강하게 마찰한다.
  • 윗니를 떼면서 마찰되는 공기를 강하게 내뱉음과 동시에 성대를 울린다.


유성 순치 마찰음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기류 발생: 폐기류기구에 의해 발생하는 호기.
  • 발성: 성대의 진동을 수반하는 유성음.
  • 조음:
  • 조음 위치: 아랫입술과 윗니에 의한 순치음.
  • 조음 방법:
  • 구강 내 기류: 혀의 중앙을 기류가 통과하는 중설음.
  • 조음 기관의 접근도: 틈을 만들어 공기의 통과를 어렵게 하고, 거기에 호기를 통과시켜 발생하는 마찰음.
  • 연구개의 위치: 연구개를 들어 올려 비강으로 통하는 통로를 막은 구강음.

3. 특징


  • 발성 기관 속의 공기의 흐름을 유지했다가 더 강하게 내는 마찰음이다.
  • 윗니와 아랫입술로 조음하는 순치음이다.
  • 조음할 때 성대가 울리는 유성음이다.
  • 입을 통하여 공기가 빠져나가는 구강음이다.
  • 기류가 혀 옆이 아니라 중앙으로 빠져나가는 중설음이다.
  • 발성 방법은 인후나 입이 아니라 폐에서 발성 기관으로 공기가 빠져나가는 폐장기류음이다.
  • 기류의 발생원 - 폐기류기구에 의해 발생하는 호기.
  • 발성 - 성대의 진동을 수반하는 유성음.
  • 조음
  • * 조음 위치 - 아래입술과 윗니에 의한 순치음.
  • * 조음 방법
  • ** 구강 내 기류 - 혀의 중앙을 기류가 통과하는 중설음.
  • ** 조음 기관의 접근도 - 틈을 만들어 공기의 통과를 어렵게 하고, 거기에 호기를 통과시켜 발생하는 마찰음.
  • ** 연구개의 위치 - 연구개를 들어 올려 비강으로 통하는 통로를 막은 구강음.

4. 언어별 발음

유성 순치 마찰음은 많은 언어에서 찾아볼 수 있는 소리이다.



슬라브어에서는 마찰력이 약한 것으로 보인다.

4. 1. 사용 예

언어단어IPA의미참고
압카스어европа|예브로파ab[evˈropʼa]'유럽'압카스어 음운론
아프리칸스어wees|베스af[vɪəs]'~이다'아프리칸스어 음운론
알바니아어valixhe|발릭세sq[vaˈlidʒɛ]'사건'
아랍어알제리[5]كاڥي|카비ar[kavi]'운동 실조'아랍어 음운론
헤자즈فيروس|파이루스acw[vajˈruːs]'바이러스'차용어에서만 사용되며, 많은 화자들에게 [f]로 전사되고 발음됨.
시르트[5]ذهب|바하브ar[vaˈhab]'금'아랍어 음운론
아르메니아어동부[6]վեց|베츠hy[vɛtsʰ]'여섯'
아시리아 신아람어ܟܬܒ̣ܐ ctava|크타바aii[ctaːva]'책'우르미아 방언에서만 사용됨. [ʋ]도 주로 사용됨. 다른 변종에서는 [w]에 해당함.
바이어어달리?[ŋv˩˧]'물고기'
불가리아어вода|보다bg[voda]'물'불가리아어 음운론
카탈루냐어알게로[8]vell|벨ca[ˈveʎ]'오래된'카탈루냐어 음운론
발레아레스[7] [8]
카탈루냐 남부[9]
발렌시아어[9][8]
체첸어 / [vaʃa]'형제'
중국어饭|판중국어[vɛ]'익힌 쌀'
쓰촨五|우중국어[vu˥˧]'다섯'표준어인 만다린어의 [w]에 해당함.
체코어voda|보다cs[ˈvodä]'물'체코어 음운론
덴마크어표준어[10]véd|베드da[ve̝ːˀð̠˕ˠ]'알다'대부분 근사음 [ʋ]임.[2] 덴마크어 음운론
네덜란드어모든 방언wraak|브라크nl[vraːk]'복수'[r] 앞에서 [ʋ]의 동소이음. 네덜란드어 음운론
대부분의 방언vreemd|프레임트nl[vreːmt]'이상한'네덜란드 화자들에게 [f]로 무성화되는 경우가 많음. 네덜란드어 음운론
표준어[11]
영어모든 방언'valv'e|밸브영어[væɫv]'밸브'영어 음운론
아프리카계 미국인reath'e|브리드영어[bɹiːv]'숨쉬다'단어 앞에는 나타나지 않음. th-전방화
코크니[bɹəi̯v]
에스페란토어vundo|분도eo[ˈvundo]'상처'에스페란토어 음운론
에웨어[12]evlo|에블로ee[évló]'그는 사악하다'
페로어[3]veður|베두르fo[ˈveːʋuɹ]'연설'단어 앞에서 [v]의 동소이음이며, 근사음 [ʋ]와 자유 변이를 이룸.[3] 페로어 음운론
프랑스어[13]valve|발브프랑스어[valv]'밸브'프랑스어 음운론
조지아어[14]იწრო|비츠로ka[ˈvitsʼɾo]'좁은'
독일어Wächter|베흐터de[ˈvɛçtɐ]'경비병'표준 독일어 음운론
그리스어βερνίκι|베르니키el [ve̞rˈnici]'니스'현대 그리스어 음운론
히브리어גב|가브he[ɡav]'뒤'현대 히브리어 음운론
힌디어[15]व्रत|브라트hi[vrət̪]'금식'힌두스타니어 음운론
헝가리어veszély|베셀hu[vɛseːj]'위험'헝가리어 음운론
아일랜드어bhaile|발러ga[vaːlə]'집'아일랜드어 음운론
이탈리아어[16]avare|아바레it[aˈvare]구두쇠(여성 복수)이탈리아어 음운론
주데오에스파냐어[ˈmwɛvɛ]'아홉'
카바르디노어 / / [vaːʁʷa]'별'아디게어의 [ʒʷ]에 해당함.
마케도니아어вода|보다mk[vɔda]'물'마케도니아어 음운론
몰타어iva|이바몰타어[iva]'예'
노르웨이어도시 동부[4]venn|벤no[ve̞nː]'친구'정지 상태와 강세 발화에서 [ʋ]의 동소이음.[4] 노르웨이어 음운론
오크어오베르뉴vol|볼oc[vɔl]'비행'오크어 음운론
리무쟁
프로방스
페르시아어서부ورزش|바르제시fa[værzeʃ]'스포츠'페르시아어 음운론
폴란드어[17]wór|부르pl[vur]'가방'폴란드어 음운론
포르투갈어[18]vila|빌라pt[ˈvilɐ]'마을'포르투갈어 음운론
루마니아어val|발ro[väl]'파도'루마니아어 음운론
러시아어[19][20]волосы|볼로시ru[ˈvʷo̞ɫ̪əs̪ɨ̞]'머리카락'유성화된 형태와 대조됨; 근사음 [ʋ]일 수도 있음.[20] 러시아어 음운론
스코틀랜드 게일어a-bhos|아보스gd[əˈvɔs̪]'여기'느슨하게 발음되어 [β]와 비슷할 수 있음. 스코틀랜드 게일어 음운론
세르보크로아티아어voda|보다sh[vɔ'da]'물'세르보크로아티아어 음운론
슬로바키아어[21]vzrast|브즈라스트sk[vzräst]'키'유성 파열음 앞 음절 음절 시작에서만 나타남; [v]의 일반적인 구현은 근사음 [ʋ]임.[21] 슬로바키아어 음운론
슬로베니아어[22]표준어filozof gre|필로조프 그레sl[filoˈz̪ôːv ˈɡɾěː]'철학자는 간다'유성 자음 앞에서 [f]의 동소이음.[22] 슬로베니아어 음운론
일부 방언voda|보다sl[ˈvɔ̀ːd̪á]'물'[ʋ] 대신 사용됨. 슬로베니아어 음운론
스페인어[23][24]afgano|아프가노es[ävˈɣ̞äno̞]'아프가니스탄인'유성 자음 앞에서 [f]의 동소이음. 스페인어 음운론
스웨덴어vägg|베그sv[ˈvɛɡː]'벽'스웨덴어 음운론
튀르키예어[25]vade|바데tr[väːˈd̪ɛ]'만기일'[v]의 주요 동소이음; 특정 맥락에서는 양순음 [β ~ β̞]로 구현됨.[25] 튀르키예어 음운론
티야프어vak|바그kcg[vag]'길'
우르두어ورزش|바르지시ur[vəɾzɪʃ]'운동'힌두스타니어 음운론
베트남어[26]và|바vi[vaː˨˩]'그리고'남부 방언에서는 [j]와 자유 변이를 이룸. 베트남어 음운론
서프리지아어weevje|베이여fy[ˈʋeɪ̯vjə]'짜다'단어 앞에는 절대 나타나지 않음. 서프리지아어 음운론
웨일스어fi|비cy[vi]'나'웨일스어 음운론
이어ii/[vu˧]'창자'



이 음은 많은 언어에서 찾아볼 수 있다.



슬라브어에서는 마찰력이 약한 것으로 보인다.

4. 2. 사용하지 않는 언어

5.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UPSID Segment Frequency http://web.phonetik.[...] 2023-02-13
[2] 논문
[3] 논문
[4] 논문
[5] 논문
[6] 논문
[7] 논문
[8] 웹사이트 La /v/ labiodental http://aldc.espais.i[...] 2021-06-13
[9] 논문
[10] 논문
[11] 논문
[12] 논문
[13] 논문
[14] 논문
[15] 논문 Implications of Hindi Prosodic Structure (Current Trends in Phonology: Models and Methods) http://faculty.wcas.[...] European Studies Research Institute, University of Salford Press 2010-10-19
[16] 논문
[17] 논문
[18] 논문
[19] 논문
[20] 논문
[21] 논문
[22] 논문
[23] 웹사이트 Tema 2 Fonética y Fonología. La descripción de los sonidos http://www.uclm.es/p[...]
[24] 웹사이트 Consonantes oclusivas http://plaza.ufl.edu[...] 2024-07-20
[25] 논문
[26] 논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